백업 쉘 작성

리눅스/CentOS 2020. 2. 26. 15:11

백업 스크립트 파일 작성
vi [백업 쉘 파일 이름]
[[ 
# 파일 내용
su - oracle -c "exp db유저/db패스워드 file=[백업경로]/[백업파일명]_`date +%Y%m%d`.dmp log=[백업 실행 로그 경로]/[백업 실행 로그 파일]_`date +%Y%m%d`.log constraints=n indexes=n STATISTICS=NONE"
]]

폴더 생성 및 권한 설정
mkdir [백업 경로]
mkdir [백업 실행 로그 경로]
chown -R oracle [백업 경로]
chown -R oracle [백업 실행 로그 경로]
chmod 775 [백업 경로]
chmod 775 [백업 실행 로그 경로]

스크립트 실행 및 테스트
./[백업 쉘 파일 이름]


예외처리
EXP-00056: ORACLE error 21561 encountered
ORA-21561: OID generation failed 
:: vi /etc/hosts
:: [서버 아이피] [호스트이름] 라인 추가 필요

ORA 01455
:: 데이터가 한 건도 없는 테이블을 EXPORT할때 발생한 경우
:: 11g부터는 테이블 생성시 segment를 바로 할당하지 않는다 강제로 할당 필요
:: SELECT * FROM user_tables WHERE initial_extent IS NULL
:: ALTER TABLE  ALLOCATE EXTENT;
:: * 세그먼트를 바로 할당하도록 설정 변경
:: * ALTER SYSTEM SET DEFERRED_SEGMENT_CREATION=FALSE;

:: *** 실제로는 설정 파일에 constraints=n indexes=n 구문을 추가 하니 오류가 발생하지 않음

EXP-00091: 불완전한 통계를 엑스포트 중입니다.
:: 이 에러 메시지는 서버단의 오라클과 클라이언트단의 오라클 버전이 틀리기 때문에 생기는 오류라고 볼 수 있다. 데이터 이관에는 아무런 영향을 주지 않지만 이를 해결을 해줌으로써 더 정확한 데이터를 얻을 수 있다.
:: exp scott/tiger file=emp1.dmp tables=emp STATISTICS=NONE

스케쥴러 등록
crontab -l
로 리스트 확인
crontab -e
로 설정 파일 진입
00 04 * * * sh파일 경로
매일 새벽 04시에 실행 되도록 설정

'리눅스 > Cent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네트워크 브릿지 설정  (0) 2019.09.23
권한 설정  (0) 2017.03.31
[CentOS 6.8] Selinux 기본  (0) 2017.03.27
[CentOS 6.8] Maria DB 10.1 설치  (0) 2017.03.27
Posted by EONES
,

/usr/sbin/brctl 이 존재 하는지 확인 하여 설치 되어있지 않다면

bridge util을 설치 합니다.

yum install bridge-util

 

nmcli 를 이용 하여 네트워 크 브릿지를 세팅 하는 법

 

  • 브릿지 추가
    nmcli con add type bridge ifname [브릿지 이름]

  • 브릿지에서 작동할 네트워크 설정(슬레이브 추가)
    nmcli con add type bridge-slave ifname [네트워크 이름1] master [브릿지 이름]
    nmcli con add type bridge-slave ifname [네트워크 이름2] master [브릿지 이름]

  • 브릿지 시작
    nmcli con up [브릿지 이름]

  • 네트워크 상태 확인
    nmcli con show

 

  • 브릿지 및 네트워크가 구성 되는 내역은 반드시 DEVICE 가 연결 되어있어서 출력이 되야 함. 만약 연결이 되지 않아 --로 출력 될 경우 UUID를 확인 필요

 

'리눅스 > Cent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백업 쉘 작성  (0) 2020.02.26
권한 설정  (0) 2017.03.31
[CentOS 6.8] Selinux 기본  (0) 2017.03.27
[CentOS 6.8] Maria DB 10.1 설치  (0) 2017.03.27
Posted by EONES
,

권한 설정

리눅스/CentOS 2017. 3. 31. 00:56

기본

chmod 774 [경로]

*하위 폴더 적용 옵션 -R (대체적으로 -r은 재귀 옵션으로 반복적으로 작동하면서 하위 폴더를 탐색해서 모두 적용 시킨다)

*기본 3자리 소유자, 그룹, 유저 권한

*Write(1) + Read(2) + eXecute(4) 로 사용 권한 만큼 합친 수를 적용


소유권자 변경

chown [현재소유자]:[변경될소유자] [경로]



기본적인 권한 설정은 문제가 없으나 하위 폴더 생성시, 로그 파일 생성시 등

새로운 파일을 추가 할때 마다 권한이 기본 권한으로 잡혀서 그룹 쓰기 권한이 없는 문제가 발생했다

간단한 방법은 umask 022 를 003이 002로 변경 하면 되지만

접근한 사용자가 하는 모든 작업에 적용 되며,

동일 그룹의 타 사용자가 작업하면 여전히 문제가 발생

폴더 단위로 권한 설정이 필요함

*umask는 역수를 사용


setfacl 을 사용


sudo setfacl -d -m group:[그룹명]:wrx [경로]

해당 경로 하위 폴더 까지 포함 시키고 싶은 경우 경로에 *을 지정해주면 된다.

'리눅스 > Cent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백업 쉘 작성  (0) 2020.02.26
네트워크 브릿지 설정  (0) 2019.09.23
[CentOS 6.8] Selinux 기본  (0) 2017.03.27
[CentOS 6.8] Maria DB 10.1 설치  (0) 2017.03.27
Posted by EONES
,